공지사항

Pathfinder H4 온라인 안내서.

하즈란 2022. 4. 2. 23:54

기본 정보.

CoreXY 397*400*400

FLY CDY V3 RRF3.3

 

Pathfinder H4 운용을 위한 온라인 안내 설명서입니다.

사용 환경 변화, 재 설정, 프린터 정비등을 위한 경우에 해당 안내서를 참고 해주세요.


프린터 시작하기.

  • 프린터 설치.
  • WIFI 최초 연결.
  • DWC 알아보기.
  • 프린터 최초 캘리브레이션.
  • 필라멘트 로드/언로드 하기.

프린터 설치.

더보기

Pathfinder H4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750*700*1000 의 공간과 접지가 있는 단상 220V 전원이 필요합니다.

 

1. 프린터 최초 설치전 WIFI 셋업이 필요합니다. 실제 사용될 공간에 설치 되기 전에 해당 지침을 따라하십시오.

2. 전원 플러그를 프린터 전자부 좌측에 꼽아주십시오.

3. 콘센트에 플러그를 뽑고 프린터 전자부 스위치를 ON을 해주십시오.

4. 후면 커버를 조심히 들어내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5. 'WIFI 최초 연결' 지침에 따라 프린터 최초 세팅을 하십시오.

6. 최초 세팅을 마친 이후 전원 공급을 차단하십시오.

7. 분리된 프린터 베드를 조심스럽게 Z축 갠트리 축에 올려두십시오.

8. 베드에서 나온 전선을 후면 쓰루 홀을 통해 전자부측으로 넘기십시오.

9. 후면 커버를 조심스럽게 들어내고 베드 전선중 AC 공급선과 베드 서미스터 센서를 각각 SSR OUT / 메인보드 베드 서미스터 센서 단자에 장착합니다.

10. 후면 커버를 다시 닫습니다.

11. 프린터 상단의 손잡이를 잡고 조심스럽게 프린터를 사용할 공간에 위치시킵시오

12. 설치할 바닥이 고르지 못한 경우 수평계와 스패너를 이용해 프린터 하부에 있는 글라이더를 조절하여 전후좌우 수평을 잡으십시오.

완료입니다.

이후 'DWC 알아보기.' 와 '프린터 최초 캘리브레이션.' 항목을 읽으십시오.

WIFI 최초 연결.

더보기

SD카드 메인데이터 와이파이 모듈 펌웨어가 기본이라는 전제하에 진행됩니다.

1. pronterface, YAT과 같은 USB 시리얼 통신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준비합니다.

 

2. 프린터 후면의 커버를 제거 한 후 메인보드의 USB 단자를 PC와 연결합니다.

2-1. USB C to C 케이블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USB C to A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을 권장합니다.

 

3. 올바른 COM 포트를 찾고 프린터와 연결을 시도합니다.

3-1. 장치관리자를 통해 프린터가 어떠한 COM에 연결되었는지 알수 있습니다.

 

4. 프린터가 온라인이라는 피드백을 주면 정상적인 연결입니다.

4-1. 프린터로부터 피드백이 오지 않는다면 연결 속도등을 조절하거나 장치 관리자에서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었는지 확인하십시오.

 

5. 프로그램등을 통해 M552 S0 명령을 보내십시오.

 

6. 다음 M587 S"네트워크 명" P"네트워크 암호" 명령을 보내십시오.

ex) wifi ssid가 'TEST' wifi pw가 '12345678' 일 경우

M587 S"TEST" P"12345678"

과 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단 소문자가 들어가는 경우 단어 앞에 (')아포스트로피를 붙히십시오.

test = 't'e's't

이는 ssid와 암호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경고. ssid에는 @#$%^&* 와 같은 특수문자등을 피하십시오. 정상적인 연결을 보증하지 못합니다.

 

7. 이후 다시 M552 S1 명령을 보내십시오.

 

8. 잠시 기다리면 wifi 모듈이 정상적으로 연결에 성공한다면 연결된 ip를 피드백합니다.

8-1. wifi 모듈의 블루LED 시그널은 다음과 같습니다.

꺼져있음 - 비활성화 혹은 비 정상적인 동작입니다.(7번을 수행해서 모듈을 활성화하거나 프린터를 재부팅하십시오)

3번의 일정한 깜빡임 이후 빠른 점멸 - wifi 신호를 찾고 있습니다.

빠른 점멸 - wifi 통신중입니다.

 

9. 피드백된 IP를 기록 후 해당 wifi에 연결된 장비를 이용해 브라우저를 통해 ip를 입력하십시오.

 

10. DWC가 로드되며 정상적인 동작이 수행되는지 테스트 하십시오.

 

완료입니다.

 

이후 프린터에 전원이 공급되면 기본적으로 저장된 wifi에 접속 시도를 합니다.

DWC 알아보기.

더보기

Pathfinder H4 는 일반적인 마를린 기반의 프린터와 다르게 렙랩 펌웨어로 동작하며 모든 조작은 LCD 컨트롤 패널이 아닌 DWC 듀엣 웹 컨트롤를 통해 제어합니다.

즉 프린터와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PC,태블릿,스마트폰)등을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합니다.


DWC 메인 화면인 대시보드입니다.

첫 접속시 보이는 화면이 바로 대시보드입니다.

이 곳에서 프린터의 모든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최상단 패널입니다.

최상단 패널은 다른 항목을 보더라도 항상 존재합니다.

G코드 명령을 보낼수도 있으며 PC등에서 접속시 슬라이서로 슬라이싱된 G코드를 즉시 업로드하여 프린터를 수행할 수 있으며

프린터가 이상 동작시 수행하는 비상 정지 버튼 또한 이 곳에 있습니다.

최초 테스트등을 수행 할 경우 비상 정지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DWC에 항상 접속하여 있으십시오.

 

Status 패널입니다.

이 패널에서 현재 프린터의 축의 좌표값과 각종 센서들의 정보등을 알 수 있습니다.

 

Tools 패널입니다.

이 패널에서 노즐과 베드에 대한 현재 온도 상태와 히팅등을 제어 할 수 있습니다.

 

히팅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하는 히터를 클릭하여 off에서 Active 상태로 전환합니다.

Active 항목에서 원하는 온도 값을 입력합니다. 기본적인 프리셋을 이용하여도 좋고 직접 입력하여도 좋습니다.

목표 온도 도달 후 프린터는 계속 대기 상태를 유지합니다. 화재에 주의하여 주십시오.

히터를 끄고 싶으신 경우 다시 히터를 클릭하여 Standby 상태를 거쳐 off 까지 눌러 주시면 됩니다.

히터는 off - Active - Standby 순서를 순환 합니다.

 

Temperature Chart 패널입니다.

시간 당 각 히터에 대한 온도 변화를 관측하실 수 있습니다.

히터0는 베드 히터1은 노즐에 대한 값입니다.

 

호밍 제어.

대시보드 항목의 Machine Movement 에서 HOME ALL을 누르면 각 축은 차례대로 호밍을 수행합니다.

호밍되지 않은 축은 주황색으로 정상 호밍 상태인 축은 파란색으로 표시됩니다.

 

각 개별 축을 호밍하고 싶다면 HOME X,Y,Z를 눌러 제어가 가능합니다.

단 HOME Z축은 우선 HOME X,Y가 정상 호밍이 된 상태에 한에서 동작합니다.

 

각 축 제어.

원하는 위치로 축을 이동 하고 싶은 경우 Machine Movement 에서의 조작버튼을 누르십시오.

DWC 특성상 조작 버튼의 값은 표시되고 있는 디바이스에 따라 적을수도 있습니다.

 

Extrusion Control 패널입니다.

익스트루딩과 관련된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노즐 히터와 연계되어 있으며 170도 미만일 경우 안전을 위해 동작이 제한됩니다.

노즐이 충분히 가열되어있는 상황이면 각 버튼들이 활성화 됩니다.

주의) Feedrate in mm/s: 항목을 15이상으로 하여 익스트루딩을 진행하지 마십시오, 압출 성능 부족으로 인한 스텝모터에 부하를 줍니다. 단 리트랙션은 무관합니다.

 

Macros 패널입니다.

프린터에 등록된 유용한 동작들이 포함된 매크로를 실행 할 수 있는 패널입니다.

매크로 동작시 프린터가 비 정상적인 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관측하며 실행시켜주십시오.


Console 화면 입니다. 여기서 프린터가 보내는 피드백과 경고등을 확인 할 수 있으며 G코드를 보낼수도 있습니다.

마를린 기반 프린터와 다르게 G코드 전송 또한 DWC내에서 이루워집니다.

Height Map 화면 입니다.

오토 메시 베드 레벨링 이후에 프린터가 측정한 데이터를 3차원 뷰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Status  화면입니다.

DWC를 통해 슬라이싱된 G코드를 입력 시 자동으로 이 창으로 이동 되며 현재 프린트 진척을 보여줍니다.

이곳에서 기본적인 프린터의 출력시 추가적 제어(속도, 쿨링팬, 압출량, Z축 베이비스태핑)를 실행 할 수 있습니다.


Jobs 화면 입니다.

메인보드 SD카드에 업로드되어 저장되어있는 G코드 항목들을 볼 수 있습니다.

Upload G-code file를 통해 G코드만 업로드 시켜 둘 수 있습니다.

각 항목들은 우클릭을 통해 삭제 혹은 로컬로 다운로드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

SD카드의 용량은 제한적이므로 과도하게 파일을 저장하지 마십시오. 업로드 실패의 원인이 됩니다.

Macros 화면 입니다.

Macros 패널에 있던 파일들을 관리할 수 있는 창 입니다. 매크로를 새로 작성하거나 수정하거나 삭제하실수 있습니다.

 

System 화면입니다.

프린터 동작과 관련된 기본 매크로와 프린터 메인보드 세팅등이 담겨있는 매우 중요한 곳 입니다.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이곳에 존재하는 파일을 편집하지 마십시오.

프린터의 예상치 못한 오동작 혹은 고장, 화재등을 불러 올 수 있습니다.

프린터 최초 캘리브레이션.

더보기

Pathfinder H4를 최초 세팅 혹은 외부 요인으로 인한 트러블이 생겼을 경우 진행하는 캘리브레이션 지침입니다.

1. 프린터 전원을 켜고 DWC에 접속합니다.

 

2. Z프로브와 노즐 사이 간극이 2mm 이내인지 노즐에 출력 이물질등이 없는지 우선 확인합니다.

 

3. Machine Movement 에서 HOME ALL 을 수행합니다.

 

4. COMPENSATION & CALIBRATION 항목을 클릭 합니다.

 

5. True Bed Levelling(G32)를 클릭합니다.

 

6. 프린터가 자동적으로 목표 온도(70도)까지 가열 후 3축 갠트리 레벨링을 시도합니다.

 

7. 총 2회 갠트리 레벨링 이후에도 베드 갠트리 수평이 맞지 않는다고 생각 될 경우 1,2회 반복 시행하십시오.

 

완료입니다.

 

알림) 갠트리 레벨링 시도중 갠트리 레벨링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고 DWC에서 경고 이벤트를 출력 할 경우 Z프로브가 정상적으로 베드를 인식하지 못했거나 계속 트리거가 되고 있는 경우입니다.

 

해결하기 위해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프린터를 긴급정지를 수행하고 호밍을 시동하기 전에 Z축 3개를 임의로 돌려 최대한 수평에 근접하도록 맞추십시오.

 

프린터가 자동으로 보정을 수행 할 수 있는 간극은 4MM입니다. 이 이상을 벗어나면 프린터는 정밀도를 보장하지 못하기에 경고 이벤트 출력과 함께 중단이 됩니다.

필라멘트 로드/언로드 하기.

더보기

Pathfinder H4에는 오토매틱 필라멘트 로드/언로드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적의 성능을 위해 로드/언로드 기능을 이용하여 필라멘트를 장착하여주십시오.

 

필라멘트 로드.

1. 프린터 우측의 스풀 홀더에 필라멘트 보빈을 겁니다.

참고)보빈 홀더는 보편적인 1KG 보빈 사이즈인 50MM 구경에 대해 대응 됩니다.

해당 사이즈보다 작은 보빈의 경우 장착에 제한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2. 필라멘트 끝단을 니퍼등을 통해 대각선으로 날카롭게 절단합니다.

3. 우측에 있는 테프론 튜브를 통해 통과합니다.

4. 인클로저 내부로 나온 필라멘트를 익스트루더 상단 테프론 튜브에 가볍게 끼워둡니다.

5. DWC 매크로 항목의 '필라멘트 로드'를 클릭합니다.

6. 노즐이 목표 온도(260도)까지 가열 된 이후 자동적으로 익스트루딩을 진행합니다.

7. 정상적으로 익스트루딩이 되는지, 노즐을 통해 필라멘트가 정상적으로 압출이 되는지 확인 하십시오.

8. 압출된 이물질을 제거하십시오.

 

필라멘트 언로드.

1. DWC 매크로 항목의 '필라멘트 언로드' 를 클릭합니다.

2. 노즐이 목표 온도(260도)까지 가열 된 이후 자동적으로 리트랙션을 진행합니다.

3. 리트랙션이 완료될때까지 필라멘트를 잡아당기지 마십시오.

4. 리트랙션이 완료되면 필라멘트를 가볍게 당겨 제거하십시오.

5. 다음 사용을 위해 필라멘트 끝단을 대각선으로 날카롭게 절단해주십시오.

 

완료입니다.


프린터 사용하기.

  • 슬라이싱 후 출력하기.
  • 일시정지, 정지하기.
  • 출력 도중 조절하기.
  • 프린터 안전하게 사용하기.
  • 프린터 유지 보수하기.

슬라이싱 후 출력하기.

더보기

Pathfinder H4는 일반적인 마를린 기반 프린터와 다르게 LCD와 SD카드 슬롯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RRF 기반 Pathfinder H4는 온라인 DWC로 모든것을 제어하기에 DWC를 통하여 조작하면 됩니다.

큐라를 기준으로 설명됩니다.

 

일반적인 출력 방법.

1. 슬라이서에서 슬라이싱 후 디스크에 저장 옵션을 선택합니다.

2. 프린터의 DWC에 접속 한 다음 우측 상단 UPLOAD & START 버튼을 눌러 슬라이싱 된 G-코드를 업로드 합니다.

3. 업로드 완료 후 즉시 출력 준비로 진입합니다.

 

큐라 RRF 플러그인을 이용한 출력 방법.

1. 큐라 우측 상단 (한)시장 (영)마켓 플레이스를 클릭합니다.

2. 커뮤니티 플러그인에서 'Duet RepRapFirmware' 를 설치합니다.

3. 큐라를 재 시작합니다.

4. 상단 탭 - 설정-프린터-프린터 관리-Pathfinder H4 선택 - Connect Duet RepRapFlirmware 클릭 - Duet Address 항목에 WIFI 설정시 연결된 IP값을 입력.

5. 슬라이싱 후 Print on Pathfinder H4 버튼을 누릅니다.

6. 즉시 파일 업로드 출력 준비 상태로 진입합니다.

 

완료입니다.

일시정지, 정지하기.

더보기

출력을 진행하고 있으면 Status 화면에 출력 현황이 출력됩니다.

Job Control를 통해 현재 출력중인 출력물을 일시정지, 정지 할수있습니다.

출력 도중 조절하기.

더보기

출력 도중 조절 가능한 요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Z-offset / 출력 속도 / 노즐 쿨링팬 / 압출량

 

 Z-offset 값이 맞지 않아 첫 레이어 출력이 불안정할 경우 Z Babystepping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간 보정이 가능합니다.

출력 완료 이후에도 적용되고 있으니 사용후 offset을 0.0mm로 조절하여 주십시오.

출력 속도 / 노즐 쿨링팬 / 압출량

각 게이지를 통해서 조절 할 수 있습니다.

 

 

프린터 안전하게 사용하기.

더보기

Pathfinder H4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준수해주십시오.

1. 설정된 프로파일을 임의로 수정하여 스펙 이상으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2. 무리한 개조를 가하지 마십시오.

3.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하지 마십시오.

4. 용도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5. 지속적으로 흔들릴수 있는 환경등에서 사용하지 마십시오.

6. 수평을 반드시 맞춘 다음 사용하십시오.

7. 혹시 모를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수면, 외출시 가동을 하지마십시오.

8. 후면 패널을 주기적으로 열어 먼지등을 청소하고 전선등의 상태등을 점검하십시오.

9. 베드를 100도 초과 가열하지 마십시오. 써멀퓨즈가 차단되어 동작이 되지 않습니다.

10. 프린트 헤드, 백패널 커넥터 단자등에서 전선을 잡고 당기지 마십시오, 단선의 원인이 됩니다.

11. 유지 보수 항목들을 주기적으로 따라주십시오.

프린터 유지 보수하기.

더보기

Pathfinder H4를 양호한 상태로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유지 보수를 해주십시오.

1. PEI 빌드 플레이트의 최상의 컨디션을 위해 최대한 유분이 닿지 않게 해주십시오.

2. PEI 빌드 플레이트를 주기적으로 동봉된 알콜,에탄올 스왑등으로 닦아주십시오.(아세톤, 신나 계열은 절대 금합니다.)

3. LM레일, TM스크류등에 주기적으로 구리스를 급유하여주십시오.

4. 구동축 아이들러, 풀리등에 주기적으로 구리스를 급유하여주십시오.

(권장 구리스는 슈퍼루브입니다, 이외의 구리스 사용시 컨디션을 보증하지 못합니다.)

5. 소모품 부속은 주기적으로 컨디션을 체크해주십시오.

(소모품 해당 부속 - 5015 블로워 팬 / 4020 쿨링팬 / GT2 벨트 / 히트 카트리지 / SSR / 베드 써멀 퓨즈)


프린터 정비시 참고 항목.

  • BMO 리스트
  • 리소스 데이터
  • Duet 공식 문서
  • FLY CDY V3 깃헙
  • 노즐 교체 이후 Z 프로브 교정 수행

BMO 리스트(클릭시 이동합니다.)

리소스 데이터(MB 구성 파일 / STL / CAD데이터)(클릭시 이동합니다.)

Duet 공식 문서(클릭시 이동합니다.)

FLY CDY V3 깃헙(클릭시 이동합니다.)

노즐 교체 이후 Z 프로브 교정 수행

더보기

수행 전 경고 사항.

1. 노즐 교체 이후 프리히팅 이후 필라멘트가 세지 않는지 우선 체크하십시오.
2. Z프로브 센서의 센싱 거리는 2mm 남짓입니다.

노즐 끝단과 Z프로브 간의 간극이 2mm 이내가 되도록 주의하십시오.

3. Z 프로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우선 체크하십시오.(대시보드에서 Z프로브 트리거 상태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교정 절차.

1. 프린터를 켜고 DWC에 접속합니다.

 

2. 좌측 패널 Files - System를 들어갑니다.

 

3. System Direcrory에서 config.g 항목을 찾아 편집 모드로 진입합니다.

 

4. ; Z-Probe 항목에서 G31 코드에서 Z*.** 에 정의 된 값을 Z0.0으로 수정하고 저장하고 나옵니다.

 

5. 보드 리셋 선택에서 리셋을 진행합니다.

 

6. 보드가 리부팅이 되고 접속이 완료 된 이후 프리히팅으로 베드를 70도까지 가열후 PEI시트까지 열이 잘 전달되게 약 5분 정도 대기합니다.

 

7. HOME ALL을 시행합니다.

 

8. X축을 -25만큼 이동합니다.

 

9. 좌측 패널 Control - Console로 진입합니다.

 

10. M561 명령을 통해 메시 보정을 취소합니다.

 

11. M564 S0 명령을보내 소프트웨어 리밋을 해제합니다.(축이 한계치를 넘어 조작 가능하니 주의하십시오)

 

12. 노즐과 베드 사이에 레벨링용 종이를 준비하고 대시보드 제어에서 Z축을 조금씩 -로 내리십시오.

 

13. -0.05를 이용해 종이가 닿는 간극을 적절히 조절합니다.(이때 가열된 베드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

 

14. 다시 Console로 진입하여 G92 Z0 명령을 보내 현재가 Z0임을 알립니다.

 

15. X축을 +25 만큼 이동 시켜 Z프로브가 기존 노즐의 위치에 있도록 조절합니다.

 

16. 대시보드에서 Z를 5~10mm 상승시킵니다.

 

17. 다시 Console로 진입하여 G30 S-1 명령을 보냅니다.

 

18. Z프로브가 트리거가 되는 경우 약간의 양수를 피드백합니다.

 

19. 16~18번까지의 절차를 3회정도 반복하여 나온 값의 평균값을 기억합니다.

 

20. System Direcrory에서 config.g 항목을 찾아 편집 모드로 진입합니다.

 

21. Z-Probe 항목에서 G31 코드에서 Z*.** 에 정의 된 값을 19번의 평균값을 입력합니다.

21-1. 2.3이란 평균값이 나왔을 경우 Z2.3 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22. 편집모드에서 나와 보드 리부팅을 진행 이후 HOME ALL을 수행합니다.

 

23. Z축을 다시 0까지 내려 노즐과 베드의 간극이 정상적임을 확인합니다.

 

완료입니다.

 

주의사항.

Z프로브는 주변온도에 따라 약간의 편차가 발생합니다.

즉 최초 교정시 베드의 온도를 평소 출력시 사용하는 온도로 충분히 가열시켜둡니다.

보드 리부팅시 프리히팅이 취소되므로 재가열을 시켜 온도 편차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