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글

스마트싱스 허브 v4 간단 후기

몇년전 스마트싱스 허브v3 모델을 구매하여 집에 iot를 구축하고 잘 쓰고 있던 와중스마트싱스 허브 v4의 출시 소식이 들려와서 관심있게 보다가 공동 구매로 생각보다 저렴하게 구할 수 있길레 호기심에 한대 구매해보았다.이미 집에 v3 허브를 메인으로 쓰고 내 방에는 사은품으로 받는 스마트싱스 스테이션도 있지만 그래도 새로운 장비의 욕심은 참을 수 없기에. 외부 패키징 모습 기존의 스마트싱스 공식 제품들은 화이트 톤의 패키징이였는데 이번에 v4허브의 패키징은 밝은 하늘빛으로 디자인이 변경되었다.정식 제품명은 스마트홈 허브이지만 허브v4가 익숙하므로 그렇게 부르겠다. v3허브와 달라진 점이라면 잘 사용하지 않던 Z-wave 가 빠지고 새롭게 추가된 스레드를 포함 매터, 지그비 총 3종류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ioT 2025.09.17 0

후지필름 X-T30 2주간의 후기, 리뷰

이러한 리뷰를 적는건 상당히 오래간만인거 같네요. 항상 출시된지 좀 오래된 제품들만 사다 쓰다보니 이렇게 최신 기종을 접해볼 기회가 없어서 딱히 후기나 리뷰같은 글을 적을 생각을 별로 안했는데 최신 기종을 산김에 한번 후기랑 리뷰를 간략하게나마 해보려합니다. 리스트. 구매계기 디자인 조작감(촬영/시스템) 성능 그외 사소한것들.. 구매 계기? 일단 저는 후지의 T30을 오기까지 삼성 NX300 - 소니 A7m2 라는 순서를 거쳤습니다. 크롭바디로 입문을 했고 거기서 저의 모든 촬영 습관들이 만들어졌고 삼성의 카메라 브랜드 정리로 인해 소니로 이주했지만 풀프레임의 크기(정확히는 렌즈)에 적응을 못하고 결국 나가 떨어져 다시 크롭바디를 살펴보고 있었습니다. 작은 바디를 택하면 APS-C인데 APS-C 바디는 ..

Photo 2019.06.28 0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3 히팅베드 구조물 작업.

CAD로 설계 과정에서 3D 프린터 출력물이 다소 들어가는 히팅베드 구조물부터 먼저 작업하기로 했다.3번정도의 재치수 설계를 거쳐 완성했다. 출력 프린터는 Anet A8에 노즐은 0.8 슬라이서는 큐라3.4 첫 출력을 진행하다가 파츠가 떨어져나가서 출력 정지를하고 구매한 부속들과 치수 점검을 해봤다.아예 안들어간다. 여유공간을 아예 안준 정 치수로 출력한 결과일까. 다음날 새로 출력하기로 했다. 새로 출력한 구조물. 이때부터는 브림을 줘서 출력을 진행했다. 왼쪽은 Z축 TM스크류와 연마봉이 물리는 파츠와 오른쪽은 베드와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파츠.이번엔 둘다 너무 헐겁게 출력되었다. 그래도 2020 프로파일과 공차는 딱 맞다. 두번째 출력물, 너무 공간이 많이 남는다. 세번째 출력은 아침일찍부터 출력을 걸..

3D printer 2019.03.27 0

디월트 호환 배터리 언패킹(그린보이 / HPT)

최근에 파편화된 전동 공구 배터리들이 너무 많아져서 이 참에 장비를 새로 들이는 김에 디월트 배터리 규격으로 통일을 했다.사실 오리지널 디월트 장비는 하나도 없고 대부분 디월트 호환 장비들뿐이지만.배터리도 어차피 공사판에서 빡세게 쓸 것도 아니라서 적당히 호환 배터리들로 구매하고 나니문득 이 제품들에 들어간 리튬 셀 정보가 궁금해져서 보유한 2개의 배터리를 언패킹 해보았다. 외관 하우징은 그냥 저렴한 플라스틱 사출 형태.딱히 고무 러버댐 같은 건 없고 어디 떨어트렸을 때 하우징에 흠집이 잘 날 거 같아 보이긴 하다.흰색 얼룩은 쓰던 거라 양해바람 배터리 잔량은 단자부 전면에 누를 때만 표시되는 형태하우징 커버를 제거하니 밑낯의 PCB층이 반겨준다.특이점이라면 PCB 회로에 일절 보호 코팅이 없다는 점.당..

Review 2025.09.23 1

[4호기]자작 툴체인징 3D프린터 진행 스케치

곧 입대를 앞두고 3D프린터를 조립하느라 사진을 상세히 찍을 틈이 없어 그냥 지금까지 진행된 내역을 스케치처럼 주욱 풀어보려 한다. 일단 있는대로 다 적을 예정이라 가독성이 좋을진 모르겠다. 처음 목표는 Anet A8 프린터 부품을 최대한 그대로 사용해서 큐브타입 3D프린터 컨버젼킷이 목표였다. 그런데 점점 욕심이 생겨셔 CoreXY 구조로 오더니 하이엔드를 지향하게 되었고 그리고 툴체인징이 최종 목표가 되었다. E3D사에서 구현한 스텝모터 타입의 락킹 구조가 아닌 전자석을 이용한 방식을 사용하려고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2015년도부터 꽤 프로젝트화가 된편이였다. 영구자석을 이용한 방법이나 서보 모터을 이용해 노즐 위치를 교체하는 방식등으로.. 하지만 기술력 과시외는 크게 상용적으론 의미가 없었는지 크게..

3D printer 2020.05.04 0

최신 글

more

디월트 호환 배터리 언패킹(그린보이 / HPT)

최근에 파편화된 전동 공구 배터리들이 너무 많아져서 이 참에 장비를 새로 들이는 김에 디월트 배터리 규격으로 통일을 했다.사실 오리지널 디월트 장비는 하나도 없고 대부분 디월트 호환 장비들뿐이지만.배터리도 어차피 공사판에서 빡세게 쓸 것도 아니라서 적당히 호환 배터리들로 구매하고 나니문득 이 제품들에 들어간 리튬 셀 정보가 궁금해져서 보유한 2개의 배터리를 언패킹 해보았다. 외관 하우징은 그냥 저렴한 플라스틱 사출 형태.딱히 고무 러버댐 같은 건 없고 어디 떨어트렸을 때 하우징에 흠집이 잘 날 거 같아 보이긴 하다.흰색 얼룩은 쓰던 거라 양해바람 배터리 잔량은 단자부 전면에 누를 때만 표시되는 형태하우징 커버를 제거하니 밑낯의 PCB층이 반겨준다.특이점이라면 PCB 회로에 일절 보호 코팅이 없다는 점.당..

Review 2025.09.23 1

스마트싱스 허브 v4 간단 후기

몇년전 스마트싱스 허브v3 모델을 구매하여 집에 iot를 구축하고 잘 쓰고 있던 와중스마트싱스 허브 v4의 출시 소식이 들려와서 관심있게 보다가 공동 구매로 생각보다 저렴하게 구할 수 있길레 호기심에 한대 구매해보았다.이미 집에 v3 허브를 메인으로 쓰고 내 방에는 사은품으로 받는 스마트싱스 스테이션도 있지만 그래도 새로운 장비의 욕심은 참을 수 없기에. 외부 패키징 모습 기존의 스마트싱스 공식 제품들은 화이트 톤의 패키징이였는데 이번에 v4허브의 패키징은 밝은 하늘빛으로 디자인이 변경되었다.정식 제품명은 스마트홈 허브이지만 허브v4가 익숙하므로 그렇게 부르겠다. v3허브와 달라진 점이라면 잘 사용하지 않던 Z-wave 가 빠지고 새롭게 추가된 스레드를 포함 매터, 지그비 총 3종류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ioT 2025.09.17 0

400급 3D printer 제작 일지.

요 최근에 400급 3D 프린터 하나를 제작해서 납품? 여하튼 갖다 드렸다. 군 입대를 하기 전 20년도쯤 한창 모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다가 "3D 프린터 하나 만들어서 팔 건데 살 사람 있음?"의 느낌으로 정말 대충 싸지른 글에 어느 한분이 진지하게 연락 주신 걸로 연이 닿아서 정말로 최종적으로 제작 후 납품을 하게 되었다. 물론 20년도 내용을 왜 22년에 꺼내냐면 방금 말한 군 입대라는 이유로 2년을 통째로 날려먹었기 때문이다. 군 복무하면서 시간 날 때마다 틈틈이 싸지방에다가 CAD 설치해서 3D 프린터를 간간히 계속 설계했기 때문에 전역할 때 즈음에는 최신 기술들이랑 실제 부품들이랑 대조해보면서 약간 손 보는 정도로만 해결을 볼 수 있었지만 막상 또 전역하자마자 바로 제작에 들어갈 순 없어서 전역..

3D printer 2022.04.08 0

디월트 공구함 부가 출력물..

올인원 공구+부품함이 필요했는데 마침 디월트에서 티스택과 비슷한 형태의 저렴한 제품이 있길레3세트를 모두 구매했다. 이건 제일 작은거 얘는 별도의 통이 제공 된다. 이제 여기서 가장 작은 사이즈와 중간 사이즈등에 나사등을 담으려 했는데생각보다 격벽의 공간이 넓어서 나사등을 담을땐 비효율적일거 같아서 3D프린터 출력물을 쓰려고 한다. 사진에서는 가장 작은 통에 담았지만 실제 운용은 중간 사이즈 통에 다른 작은 부품들과 함께 사용중이다.얇은 너트나 와셔등은 닫아도 넘어갈 우려가 있어서 지퍼백에 담아서 별도 보관하기로 했다.

Works Story. 2020.05.11 0

[5호기]2호기의 오버홀 겸 해체 그리고 새로운 시작

작년 3월쯤 제작했던 나의 첫 자작 3D프린터였던 KLU300을 해체했다. 그리고 새로운 5호기로 제작하려고 진행한다. 주요 변경 사항은 얼티메이커 갠트리에서 CoreXY 갠트리로 전향. 300급 빌드 사이즈에서 400급 빌드 사이즈로 확장. XY-Z 갠트리에서 XYZ 갠트리로 변경. 등등이 되겠다. CAD를 만진지 얼마 안된 시기였기도 했고 3D프린터에 대한 이해는 있었지만 갠트리 설계 최적화 능력이 많이 떨어졌었기에 많이 비효율적인 설계를 많이 했었다. 때깔 좋게 정리하고 컬러도 다 지정했는데 이 망할 FreeCAD가 또 오류를 내면서 모든 스트럭쳐 모델을 비활성화 시키는 버그를 당하는 바람에 이렇게 단색으로 스크린샷을 찍었다. 도면은 뭐 나만 알아보면 된거니 크게 중요하진 않다. 해체를 앞두기전 마..

3D printer 2020.05.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