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bby 37

인생 처음의 새 카메라. 후지필름 X-T30 개봉기.

더보기 그동안 나는 항상 극한의 가성비충이였다. 그래서 비싼 물건을 살일이 있으면 항상 중고나라를 뒤져가면서 좋은 매물있으면 거래를 하곤 했다. 그렇게해서 거래했던것이 3달전에 구매했던 소니의 a7m2 였다. 나의 첫 풀프레임이였고 첫 소니 제품이였고 첫 메이저 브랜드 제품이였다. 그렇게 처음엔 즐겁게 잘 썼었다. 하지만 야외 출사시 풀프레임의 어쩔수없는 바디와 뒤따라오는 렌즈의 크기때문에 몇년을 APS-C로 길들여진 나에겐 너무나도 버거운 무게였다. 물론 걸어다니면서 큰 카메라팩에 넣어다닌다면 상관없었겠지. 자전거로 돌아다니면서 기동성 위주로 가볍게 스냅샷을 찍고 다닌 나에겐 버거웠다. 그러다 점점 카메라에 대한 애정이 급속도로 식더니 결국 기변병이 도지고 말았다. 그래서 이미 적응한 소니의 크롭바디에..

Hobby/Photo 2019.06.09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8 트러블 슈팅1.

대략적으로 전원부 세팅을 다했고 드디어 3D프린터에 전원을 넣어 안정적으로 프린터를 돌릴수 있게 되었다. 이전까지는 묘듈로 되어있었기에 선도 널부러져있었고 문제가 많았지만 지금은 어째든 그런 문제는 적어도 없게 되었다. 어째든 펌웨어 세팅을 해주고 벤치마킹을 시작하기로 한다. 일단은 20mm 큐브. 아무 베이스도 없는 상황에서 잘 나와줬다. 압출불량은 마를린 펌웨어상에서의 익스트루더 스텝모터의 스텝값 계산에서 실제보다 부족한걸로 파악해서 펌웨어를 수정하고 실제 출력에서 얼마나 보간을 더 해줘야하는지. 그런식으로 트러블 슈팅을 해나갔다. 애꿎은 펌웨어만 패고 있었다.. 큐라에서 필라멘트 옵션이 2.85로 풀려있었다. 내가 사용하는 필라멘트는 1.75이니 그만큼 익스트루더가 덜 압출하고 나는 그 사실을 모른..

Hobby/3D printer 2019.05.12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7 전자부 배선.

빨리 끝내고 싶다는 마음이 앞서 제작에만 열두하다보니 제작기를 몇주나 지난후에 적게 되었다. 갠트리 구조를 마무리 짓고 이제 전자부 작업에 들어섰다. 생각해보니 저걸 하단에 다는것도 일이고 그냥 2단 프로파일로 작업하는게 더 깔끔할것같아서 계획을 변경했다. 원래 계획은 내써팝의 MD2.5 처럼 하려고했었는데 치수를 너무 감으로 잡았더니 SD카드를 끼울만큼 공간이 안나와서 차후 방법을 갈구하기로 했다. Z축 높이를 조금만 더 낮게 했더라면 갠트리를 모두 풀어 조립해야하는 참사가 벌어질뻔했다. 조립의 편의를 위해 원형 그런거 없이 그냥 직각으로 잘라낸다. 차후 부품 교체를 할수있게 접착제등을 이용해 전자부를 다이렉트로 붙히지않고 모두 나사를 이용한 고정방식으로 가기로한다. 하얀색 포맥스를 덧댄 이유는 위에 ..

Hobby/3D printer 2019.05.12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6 갠트리 구조 조립.

이제 얼티형 3D 프린터라고 부르는 이유인 얼티메이커의 갠트리 구조를 조립한다. XY가이드 연마봉은 8MM를 사용했고 크로스 연마봉은 6MM를 사용했으며 기본적인 스펙을 따라가기로 했다. 일단 연마봉을 고정하는 베어링인 KP08은 4편의 Z축 조립당시 프로파일마다 미리 조립해놓았으니 거기에 맞춰 공차만 잘 줄여주면 된다. 설계 당시에는 그냥 모두 이너브라켓으로 때우면 되겠지.. 라는 안일한 생각을 했다. 조금 더 자료조사를 했어야했었는데. 이너브라켓을 쓰게 되면 내부 홈에 공간을 차지하게되고 그렇기때문에 KP08 베어링을 최대한 가장자리로 조립을 못하게 된다. ㅡ 그렇기에 뒤늦게 평브라켓을 구매해서 모두 새로 조립을 했다. 이너브라켓을 이용해 공차를 줄일려면 여러 고생을 해야되지만 평 브라켓은 그냥 최대..

Hobby/3D printer 2019.04.22

첫 FPV고글을 샀습니다. 이신사 EV200D

레이싱드론에 입문한지 몇개월.. 짬짬히 자전거 타고 나가 시계비행을 몇번 즐긴게 다인데 레이싱드론이지만 정작 레이싱을 제대로 해본적은 없어 아쉬움을 느낄때 결국 고글을 질렀습니다. 드론계 샤오미라고 불리는 이신(eachine)사의 EV200D입니다. 이신에선 드론에 관련한 다양한 제품을 만듭니다. 완구부터 시작해서 완조립 레이싱드론, VTX, 악세사리, 그리고 고글까지. 이신에는 다양한 고글이 있습니다. 저렴한 고글도 있고 박스형 고글도 있고 일반적인 고글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모델을 택한 이유는 두가지정도가 있습니다. 일단 내장 OLED 패널이 720P입니다. 이 해상도 가지고 뭘하냐 싶지만 레이싱드론 고글에선 VR용 고글만큼 초고해상도를 필요치않습니다. 다른 펫샥등의 고글 해상도가 SD쯤일때 얘가 ..

Hobby/RC 2019.03.31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5 핫엔드 블럭 제작.

저번 포스트에선 Z축 유니트를 조립해 Z축 전체를 제작을 진행했고 이번에는 얼티 갠트리 구조를 만들기전 핫엔드 블럭을 먼저 제작하기로 한다. 이유는 다른 H봇, coreXY의 경우 Y축 로드가 하나만 들어가면 되기에 적당히 선조립 후설계도 가능하지만 얼티는 XY 연마봉이 둘다 핫엔드 블럭에 들어가기에 그에 따른 높이 공차를 맞추기 위해서 핫엔드 블럭을 먼저 제작하고 그 다음 공차를 맞춰서 갠트리를 조립한다. 내가 제작한 3D 프린터의 경우 Y축 연마봉을 고정하는 KP08이 몸체 프로파일 최상단 가로축에 달라 붙기때문에 X축 연마봉을 고정하는 KP08이 기둥 프로파일에 고정시키게 하고 여기서 조절을 가능하도록 설계를 했다. 얼티 구조는 대칭 구조 부속이 많이 때문에 기준점으로 잡은 한쪽의 파츠만 수정하고 ..

Hobby/3D printer 2019.03.31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4 Z축 작업.

2020프로파일과 히트베드 레벨러 조립에 이어서 이번에는 공차 문제가 있던 Z축 유니트를 조립해서 Z축 부분 조립을 진행했다. 어쩌다보니 M5 나사 개수가 너무 많아져 일단 정리했다. 키보드 위에는 나사 개별 포장지들.. 저번에 공차가 안맞아 헐렁했던 Z축 유니트를 대신해 새로 뽑은 Z축 유니트. 망치로 때려 박아서 리니어 베어링을 넣었다. 플라스틱부분에 데미지가 가는거 같아서 좋은 방법은 당연히 아닌거 같다. Z축에 사용되는 TM로드 너트를 끼워준다. 베어링과 다르게 잘 들어갔다. 나사를 이용해 고정해준다. 마와레! 잘 돌아가는지 테스트를 해본다, 별 이상 없이 잘 돌아가더라. 이제 반대쪽 유니트를 출력하는데 필라멘트가 98에서 떨어지는 바람에 결국 출력 중단후 그 공차만큼 따로 출력을 해 접착제로 붙..

Hobby/3D printer 2019.03.30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3 히팅베드 구조물 작업.

CAD로 설계 과정에서 3D 프린터 출력물이 다소 들어가는 히팅베드 구조물부터 먼저 작업하기로 했다.3번정도의 재치수 설계를 거쳐 완성했다. 출력 프린터는 Anet A8에 노즐은 0.8 슬라이서는 큐라3.4 첫 출력을 진행하다가 파츠가 떨어져나가서 출력 정지를하고 구매한 부속들과 치수 점검을 해봤다.아예 안들어간다. 여유공간을 아예 안준 정 치수로 출력한 결과일까. 다음날 새로 출력하기로 했다. 새로 출력한 구조물. 이때부터는 브림을 줘서 출력을 진행했다. 왼쪽은 Z축 TM스크류와 연마봉이 물리는 파츠와 오른쪽은 베드와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파츠.이번엔 둘다 너무 헐겁게 출력되었다. 그래도 2020 프로파일과 공차는 딱 맞다. 두번째 출력물, 너무 공간이 많이 남는다. 세번째 출력은 아침일찍부터 출력을 걸..

Hobby/3D printer 2019.03.27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2 부품 수급

퇴사후 남은 월급을 털어 부품들을 구매한다.넣을수있는것들은 최대한 모두 때려박기로 했다. 나중에 아쉬워 업그레이드 하는 일이 없도록. 일단 중요한 프레임이 될 프로파일과 전자,기구부들을 구매하기로 했다. 프로파일은 내가 아는곳인 동진산업의 프로파일몰에서 구매했다.[[링크]]사이트가 09년에 멈춘듯한 그런 디자인이지만 그래도 엄연히 운영중인곳이다.기타 부속등을 포함해 9만원으로 다른곳보다 저렴하게 구매했다.프로파일 재단 규격은 아래와 같다.2020 프로파일.230mm 2개440mm 2개3030 프로파일.510mm 4개520mm 4개700mm 4개 [아래는 프로파일을 처음 조립하는 사람들을 위한 조언이다. 잘 읽는걸 추천한다.] 2020 프로파일은 히팅베드 구조를 위한것이고 3030 프로파일은 메인 프레임을..

Hobby/3D printer 2019.03.27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1 CAD 설계

회사를 다니면서 목표가 있었다.퇴사하면 남은 월급으로 대형 3D프린터를 자작하겠다는 목표.. 사이즈는 300*300은 나와야했고 높이는 좀 넉넉히 500쯤은 나와야하지 않을까 싶어서 대충 그렇게 생각.구조 부분은 어떻게할까. 300mm이상의 대형구조에선 H봇이라던지 coreXY던지 둘다 중앙 갠트리를 LM로드를 써야하는 문제점때문에 다소 연마봉을 많이 쓰더라도 얼티형 구조를 체택했다. 대충 H봇, coreXY, 얼티형에 대해 장단점을 나열하자면H봇은 직교형의 가장 기본이 되는 형상이라 볼수있으며 구조가 간단해 제작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단점은 타이밍벨트를 길게 늘어지게 써서 장력조절이 중요하다.coreXY버전은 H봇 구조 갠트리에서 벨트가 서로 크로스되는 다소 복잡한 구조를 가지지만 타이밍벨트의 장력..

Hobby/3D printer 2019.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