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bby/3D printer 17

400급 3D printer 제작 일지.

요 최근에 400급 3D 프린터 하나를 제작해서 납품? 여하튼 갖다 드렸다. 군 입대를 하기 전 20년도쯤 한창 모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다가 "3D 프린터 하나 만들어서 팔 건데 살 사람 있음?"의 느낌으로 정말 대충 싸지른 글에 어느 한분이 진지하게 연락 주신 걸로 연이 닿아서 정말로 최종적으로 제작 후 납품을 하게 되었다. 물론 20년도 내용을 왜 22년에 꺼내냐면 방금 말한 군 입대라는 이유로 2년을 통째로 날려먹었기 때문이다. 군 복무하면서 시간 날 때마다 틈틈이 싸지방에다가 CAD 설치해서 3D 프린터를 간간히 계속 설계했기 때문에 전역할 때 즈음에는 최신 기술들이랑 실제 부품들이랑 대조해보면서 약간 손 보는 정도로만 해결을 볼 수 있었지만 막상 또 전역하자마자 바로 제작에 들어갈 순 없어서 전역..

Hobby/3D printer 2022.04.08

[5호기]2호기의 오버홀 겸 해체 그리고 새로운 시작

작년 3월쯤 제작했던 나의 첫 자작 3D프린터였던 KLU300을 해체했다. 그리고 새로운 5호기로 제작하려고 진행한다. 주요 변경 사항은 얼티메이커 갠트리에서 CoreXY 갠트리로 전향. 300급 빌드 사이즈에서 400급 빌드 사이즈로 확장. XY-Z 갠트리에서 XYZ 갠트리로 변경. 등등이 되겠다. CAD를 만진지 얼마 안된 시기였기도 했고 3D프린터에 대한 이해는 있었지만 갠트리 설계 최적화 능력이 많이 떨어졌었기에 많이 비효율적인 설계를 많이 했었다. 때깔 좋게 정리하고 컬러도 다 지정했는데 이 망할 FreeCAD가 또 오류를 내면서 모든 스트럭쳐 모델을 비활성화 시키는 버그를 당하는 바람에 이렇게 단색으로 스크린샷을 찍었다. 도면은 뭐 나만 알아보면 된거니 크게 중요하진 않다. 해체를 앞두기전 마..

Hobby/3D printer 2020.05.04

[4호기]자작 툴체인징 3D프린터 진행 스케치

곧 입대를 앞두고 3D프린터를 조립하느라 사진을 상세히 찍을 틈이 없어 그냥 지금까지 진행된 내역을 스케치처럼 주욱 풀어보려 한다. 일단 있는대로 다 적을 예정이라 가독성이 좋을진 모르겠다. 처음 목표는 Anet A8 프린터 부품을 최대한 그대로 사용해서 큐브타입 3D프린터 컨버젼킷이 목표였다. 그런데 점점 욕심이 생겨셔 CoreXY 구조로 오더니 하이엔드를 지향하게 되었고 그리고 툴체인징이 최종 목표가 되었다. E3D사에서 구현한 스텝모터 타입의 락킹 구조가 아닌 전자석을 이용한 방식을 사용하려고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2015년도부터 꽤 프로젝트화가 된편이였다. 영구자석을 이용한 방법이나 서보 모터을 이용해 노즐 위치를 교체하는 방식등으로.. 하지만 기술력 과시외는 크게 상용적으론 의미가 없었는지 크게..

Hobby/3D printer 2020.05.04

자작 얼티형 3D 프린터 - 익스트루더 교체

이번에 센서를 교체하면서 겸겸으로 같이 익스트루더도 교체하기로 했다. 일반 저속출력시에는 별 문제가 없었는데 고속출력시 틱틱 거리는 소리와 함께 압출이 제대로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런 문제 때문에 기어가 붙어있는 감속형 익스트루더를 찾았고 E3D 타이탄 익스트루더를 구매했다. 다들 듀얼기어 본텍 익스트루더를 사용하는데 왜 타이탄을 사용하냐고 묻냐면 가격때문이지 않을까 한다. 어차피 보우덴 환경에선 큰 차이를 못 느끼기도 하고 MK8 익스트루더 세트에 얼티메이커 피니언을 사용했고 스텝모터는 50mm 이런 조건인데 필라가 제대로 밀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기존 익스트루더는 프린터의 기둥에 설치해놨는데 이번에 위치를 상단으로 옮기면서 필라멘트 튜브의 길이를 상당히 줄이게 되었다. 덕분에 스텝모터 부담..

Hobby/3D printer 2019.10.07

자작 얼티형 3D 프린터 - 레벨링 센서 교체

이번에 레벨링 센서를 교체하게 되었다. 기존에 쓰던게 BL터치였는데 완전히 고장나서 AS를 보냈지만 수리 불가 판정을 받고 그냥 폐기처리 해달라고 했다. 정품 신품을 사기엔 돈이 없었고 그렇다고 알리제 가품을 사기엔 성능도 좀 거슬리고 오래 걸리기도 하고. 그래서 근접 센서를 한번 써보기로 했다. 제품명은 LJ12A3-4-Z/BX 라는 제품이고 12파이 제품이고 금속 검출 거리는 4mm. 금속 근접센서는 금속외는 감지가 안되기에 환경요소(온도, 습기)등에 덜 민감하고 항상 값이 정확하다는 점이다. 가격은 2500원으로 구입했고 가장 저렴했다. 그리고 큰 작업없이 바로 커넥터 작업만 하면 엔드스톱 자리에 장착하여 사용할수있다. 기존 BL터치는 PNP타입이기에 따로 펌웨어상에서 트리거 세팅을 수정해줘야한다...

Hobby/3D printer 2019.10.07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9 콜드엔드 교체

정말 오래간만에 포스트를 적는것같다. 원래라면 트러블 슈팅 2편을 올려야 하지만 2편으로 올릴만한 사진이 없어서 그냥저냥 넘어가기로.. 지금 올리는 포스트도 좀 시일이 지난편이긴한데 기존 자작 프린터에 달렸던 콜드엔드부분을 교체해줬다. 교체를 결정한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노즐 히트싱크 고정 조인트가 아래쪽에 잡혀있어 Z축에서 약간 손해를 봄. 2. 나사를 조으는 방식으로 조인트가 설계되어있었는데 몇번 푸니깐 헐거워짐(히트싱크가 흔들림) 3. 나중을 대비해서 BL터치 브라켓을 모듈러로 했는데 이게 흔들려 오차가 발생하게됨 4. 방열판 쿨러가 30mm임.. 5. 필라멘트 쿨링 덕트가 씽기버스산이라서 마음에 안듬. 뭐 이렇다. 그래서 Free CAD로 후딱 새로 모두 설계하고 출력했다. 여기서 나사가 가..

Hobby/3D printer 2019.07.29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8 트러블 슈팅1.

대략적으로 전원부 세팅을 다했고 드디어 3D프린터에 전원을 넣어 안정적으로 프린터를 돌릴수 있게 되었다. 이전까지는 묘듈로 되어있었기에 선도 널부러져있었고 문제가 많았지만 지금은 어째든 그런 문제는 적어도 없게 되었다. 어째든 펌웨어 세팅을 해주고 벤치마킹을 시작하기로 한다. 일단은 20mm 큐브. 아무 베이스도 없는 상황에서 잘 나와줬다. 압출불량은 마를린 펌웨어상에서의 익스트루더 스텝모터의 스텝값 계산에서 실제보다 부족한걸로 파악해서 펌웨어를 수정하고 실제 출력에서 얼마나 보간을 더 해줘야하는지. 그런식으로 트러블 슈팅을 해나갔다. 애꿎은 펌웨어만 패고 있었다.. 큐라에서 필라멘트 옵션이 2.85로 풀려있었다. 내가 사용하는 필라멘트는 1.75이니 그만큼 익스트루더가 덜 압출하고 나는 그 사실을 모른..

Hobby/3D printer 2019.05.12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7 전자부 배선.

빨리 끝내고 싶다는 마음이 앞서 제작에만 열두하다보니 제작기를 몇주나 지난후에 적게 되었다. 갠트리 구조를 마무리 짓고 이제 전자부 작업에 들어섰다. 생각해보니 저걸 하단에 다는것도 일이고 그냥 2단 프로파일로 작업하는게 더 깔끔할것같아서 계획을 변경했다. 원래 계획은 내써팝의 MD2.5 처럼 하려고했었는데 치수를 너무 감으로 잡았더니 SD카드를 끼울만큼 공간이 안나와서 차후 방법을 갈구하기로 했다. Z축 높이를 조금만 더 낮게 했더라면 갠트리를 모두 풀어 조립해야하는 참사가 벌어질뻔했다. 조립의 편의를 위해 원형 그런거 없이 그냥 직각으로 잘라낸다. 차후 부품 교체를 할수있게 접착제등을 이용해 전자부를 다이렉트로 붙히지않고 모두 나사를 이용한 고정방식으로 가기로한다. 하얀색 포맥스를 덧댄 이유는 위에 ..

Hobby/3D printer 2019.05.12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6 갠트리 구조 조립.

이제 얼티형 3D 프린터라고 부르는 이유인 얼티메이커의 갠트리 구조를 조립한다. XY가이드 연마봉은 8MM를 사용했고 크로스 연마봉은 6MM를 사용했으며 기본적인 스펙을 따라가기로 했다. 일단 연마봉을 고정하는 베어링인 KP08은 4편의 Z축 조립당시 프로파일마다 미리 조립해놓았으니 거기에 맞춰 공차만 잘 줄여주면 된다. 설계 당시에는 그냥 모두 이너브라켓으로 때우면 되겠지.. 라는 안일한 생각을 했다. 조금 더 자료조사를 했어야했었는데. 이너브라켓을 쓰게 되면 내부 홈에 공간을 차지하게되고 그렇기때문에 KP08 베어링을 최대한 가장자리로 조립을 못하게 된다. ㅡ 그렇기에 뒤늦게 평브라켓을 구매해서 모두 새로 조립을 했다. 이너브라켓을 이용해 공차를 줄일려면 여러 고생을 해야되지만 평 브라켓은 그냥 최대..

Hobby/3D printer 2019.04.22

자작 얼티형 3D프린터 제작기.#5 핫엔드 블럭 제작.

저번 포스트에선 Z축 유니트를 조립해 Z축 전체를 제작을 진행했고 이번에는 얼티 갠트리 구조를 만들기전 핫엔드 블럭을 먼저 제작하기로 한다. 이유는 다른 H봇, coreXY의 경우 Y축 로드가 하나만 들어가면 되기에 적당히 선조립 후설계도 가능하지만 얼티는 XY 연마봉이 둘다 핫엔드 블럭에 들어가기에 그에 따른 높이 공차를 맞추기 위해서 핫엔드 블럭을 먼저 제작하고 그 다음 공차를 맞춰서 갠트리를 조립한다. 내가 제작한 3D 프린터의 경우 Y축 연마봉을 고정하는 KP08이 몸체 프로파일 최상단 가로축에 달라 붙기때문에 X축 연마봉을 고정하는 KP08이 기둥 프로파일에 고정시키게 하고 여기서 조절을 가능하도록 설계를 했다. 얼티 구조는 대칭 구조 부속이 많이 때문에 기준점으로 잡은 한쪽의 파츠만 수정하고 ..

Hobby/3D printer 2019.03.31